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복잡한 세상에 더하는 진한 여백

 

 

불편하다. 보는 내내 찜찜한 걸 알기 때문에 피했던 김기덕 감독의 영화를 마주했다.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영화 보는 일이 재미 이상의 의미를 가지려면 매일 같이 신나고 또 신날 수는 없다. 불편한 영화가 매력적인 이유는 생각을 깊게 그리고 오래 지속시키기 때문이다. 그의 영화가 그렇다. 1996년 <악어>를 시작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그의 영화를 항상 누군가의 이야기나 텍스트로만 접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불안이 무섭기 때문이다.

 

블로그에 적어 본 영화 중 불안한 것으로 꼽자면 조성희 감독의 <남매의 집>이 일품이다. <남매의 집>이 불안한 이유는 힘 없는 내가 꼼짝없이 갖혀서 관찰을 당하거나 살해당할 위험에 처했기 때문이다. <남매의 집>이 좁은 공간이 주는 공포라면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의 공포는 넓은 공간, 거대한 자연에 대한 일종의 겁이다.

 

2012/09/26  [소울푸드: 리뷰/오늘은 영화] 남매의 집, Don't Step Out Of The House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은 대사가 많지 않다. 조용하고 적막한데, 사건이 일어난다. 절제된 대사와 인물의 움직임 사이의 여백은 계절이라는 배경과 호수 위에 떠 있는 암자의 모습이 채워준다. 여백이 많은 영화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처음 30분은 스스로 어색해서 자주 시계를 들여다 봤다. 등장인물도 노승, 동자승, 소녀, 소녀의 엄마, 형사1, 형사2, 아기엄마, 아기 이런식으로 한 사람씩 읊을 수 있다. 영화는 세상의 모습을 몇사람이 되지 않는 이들을 통해 충분히 보여준다. 등장하는 동물 개구리, 뱀, 물고기, 닭, 고양이의 비중도 무겁게 느껴진다. 결국은 함부로 대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영화에서는 작은 동물도 커다란 배경도 모두 역할이 있다. 영화에 제일 많이 등장하는 문은 무대의 시작이며 세상의 경계, 보이지 않는 법칙이다. 암자로 오기 위해서 꼭 거쳐야 하는 문은 세속과는 단절된 곳으로 가기 위한 절차이며, 암자 안에 놓인 벽이 없는 문은 생활을 위해 필요한 규칙이 작용하는 오브제다. 문은 이렇게 이 영화만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미장센의 역할을 한다. 벽은 없고 덩그러니 문틀과 함께 놓여있는 문은 공간에 대한 무소유개념이다. 벽은 공간을 분할해서 갖는다. 벽은 없지만 문만 있는 것은 공간을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함께 공유하되, 분명 나뉘어져 있는 공간이라는 일종의 암묵적인 약속이다. 공간은 흐르고 결국 나뉘어져 있는 것 같지만 이어져있고 서로 상관이 있다. "욕망은 집착을 낳고 집착은 살의를 부른다"는 노승의 말처럼 소유의 개념을 공간에 담았다.

 

 

익히 알려져 있는 것처럼 사계, 계절을 통해 인생을 표현한다. 절, 스님, 동자승이 나오니까 불교적 색채가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영화를 다 보고나면 불교는 우리나라의 색을 가장 깊고 진하게 담을 수 있는 그릇으로 선택한 매개채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겨울'에서는 지나간 업을 회개라도 하려는 듯 산을 오르는 고행이 시작되는데, 뜬금없이 배경음악으로 '정선 아리랑'이 등장했네?라는 느낌이 있었다) 불교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특성 뿐 아니라 세상의 경계를 표현하기에도 적합하기 때문에 사용한 툴이다.

 

불교영화의 모습을 빌린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은 동양사상의 뿌리인 성선설을 빗겨나간다. 불교 가르침의 원류 '인간은 부처의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성선설의 자리에는 누가 가르쳐주지 않았는데도 자연스럽게 죄를 짓는 인간의 모습을 통해 오히려 '원죄'의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동자승은 심심해서 그랬는지 물고기, 개구리, 뱀의 머리와 허리에 실을 꽁꽁 묶어 돌을 매달아 놓는다. 소년으로 자란 아이는 어느 여름, 요양차 암자를 찾아 온 소녀의 몸을 탐한다. 소녀가 욕심이 났던 그는 결국 스님과 함께 살던 암자를 떠났다가 세월이 제법 흐른 어느 가을 불륜을 저지른 아내를 살인한 살인자가 되어 다시 돌아온다. 속죄의 시간을 갖고 빈 공간이 되어버린 암자를 다시 찾은 소년은 어느덧 중년이 되었고 그해 겨울 긴 고행의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다시 찾아온 봄, 노승이 된 그는 의문의 여자가 맡기고 간 어린 아이를 보살핀다. 영화의 마지막은 보살핌을 받게 된 어린 동자승이 물고기, 개구리, 뱀의 입에 큰 돌을 강제로 물리는 모습이다.

 

단지 물고기, 개구리, 뱀의 입에 돌을 물리는 모습이 충격적인데, 이제 노승이 된 소년이 동물들을 괴롭혔을 때 처럼 소년을 따라와서 물끄러미 바라보는 누군가가 없다는 사실도 괜히 불안해진다.

 

 


덧, 불교에서 나타나는 사찰건축에서는 물을 정화의 의미로 두었다. 속세에서 묻은 때를 씻어내는 역할을 하는 물을 꼭 지나게 하는 것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은 물을 단순히 건너는 것이 아니라 배를 타고 지나야 할 정도로 많이 두었다. 씻어야 할 것이 얼마나 많은지 !

 

영화에서는 물도 흐르고 공간도 흐른다. 우리의 시간도 인생도 흐른다. 흘러가는 것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영화다. 삶이 퍽퍽해서 여백이 필요한 당신에게 아주 진하게 흐르는 여백을 선물로 줄 영화, 그래서 그 여백 때문에 오히려 복잡해져도 하나 쯤은 꼭 얻게 될테니 추천 :-)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2003)

Spring, Summer, Fall, Winter... and Spring 
9.2
감독
김기덕
출연
오영수, 김기덕, 김영민, 서재경, 김종호
정보
드라마 | 한국 | 106 분 | 2003-09-19
다운로드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