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다상담 3, 벙커1 철학자의 다강의

 

 

강신주의 다상담 3권은 소비, 가면, 늙음, 꿈, 종교와 죽음을 이야기 한다. 책을 읽는 그 시간들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멘탈이 건강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좋은 책, 읽을만한 책, 추천할 만한 책이다. 동시에 삶에 대해 한 번 쯤 꼭 느꼈으면 하는 불편함에 직면해 보고 싶다면 적극 추천이다.

 

그의 이야기들이 진심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이야기들이 주입식 교육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절대적 권위를 가진 한 사람의 계몽강연이지, 상담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다. <다상담>이라는 제목처럼 벙커1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진 표현과 행동, 사람들의 모임과 소리, 그 과정들이 '상담'이라고 명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담이라고 이름 붙여진 그 강연에 직접 참여해 앉아 있었다면 왜 '다강의'가 아니고 <다상담>인지 이해가 되려나 싶기도 했다.

 

그것도 상담이라 부른다면 상담이겠지만, 이 또한 한국에서는 상담이라는 단어를 분별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일어난 상황이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든다.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핸드폰 하나를 사더라도 그 구매 행위에 '상담'을 붙이니 말이다.

 

원칙적으로 이야기하면 '상담'이라는 분야는 사실 철학의 것이었다. 그런면에서 철학자의 상담은 제법 의미가 있다. 철학의 근원부터가 앎에 대한 사랑이듯 모든 학문의 근원도 철학에 있었다. 심리학의 역사는 200년 정도, 현대에는 상담이라는 분야를 정신의학, 심리학, 그리고 종교인들이 나누어 담당을 하게 된 가운데 심리학이 등장하기 전, 의학이 등장하기 전부터 존재한 철학은 튼튼한 뿌리로 '상담'이라는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다가 산업화가 되고 무엇이든 돈이 되는 것이 중요해지기 시작하면서 철학은 자기자리를 빼앗기기 시작한다. 문사철이 죽어가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런데, 문사철이 죽은 시대에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는 철학자의 등장은 물론 반가울 수 밖에. 아주 권위적이고 지독하고, 잘 알지도 못하면서라는 생각을 하게하는 그의 말들은 사실 텍스트로 접할 때 보다 방송으로 접할 때 더욱 가시처럼 느껴지는가보다. <강신주의 다상담 3>이라고 찾아도 보고, 벙커1이라고도 검색해 보면서 의외로 '벙커1'이라는 공간에서 방송된 그의 이야기가 가시처럼 느껴졌다는 의견들도 종종 발견되었다. 그렇다. 그 또한 그가 강조하는대로 사람인지라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론적인 원리원칙적인 말들을 모법답안인양 이야기해 놓고 마음을 졸였을지도 모를 일이다.

 

특히 죽음과 종교를 다루는 부분에 있어서는 이 부분이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 또한 '신은 있다'라는 전제로 살아가는 나의 이론에 반대되는 입장을 가진 '신은 없다'의 논리가 거북스럽게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특히 가끔은 기독교에 대한 근거없는 비판들도 많았는데, 종교적인 입장에서 이야기를 짚고 넘어가기 때문에 어느 개독인이 강신주라는 철학자를 모독한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필자가 '어느 개독인'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일부 기독교에 대해 비하하는 사람들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기독교를 믿는 사람을 개독인이라 불리는 감정이 섞인 이 단어는 그만큼의 책임이 믿는 사람들에게는 꼬리표처럼 따르고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책의 처음부터 마지막 장까지 찬찬히 살펴보면 '이것이 바로 철학이로구나!'라는 생각보다 "아, 이건 이 사람만의 철학이구나"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그럼에도 꼭꼭 씹어먹으면 좋을만한 내용들이 있으니 소비, 가면, 늙음, 꿈, 종교와 죽음에 대해 <다상담>을 읽은 것을 계기로 정리해본다.

 

소비                                             소비하기 위해서 돈을 번다. 일단 나는 그러하다. 그리고 가끔은 하고 싶은 일을 희생하면서 생계를 위해 돈을 벌기도 하고, 돈을 적게 벌더라도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노력하기도 한다. 소비에 대한 이야기는 <강신주의 다상담 3>에 많은 부분 공감했다.

 

우리는 돈의 우월한 지위 근처까지만 갈 뿐입니다. 상품은 절대로 돈의 지위를 찬탈할 수 없다는 것, 그것이 바로 자본주의의 생리니까요.

 

책은 자본주의의 선택을 강요당한 인류가 반드시 생각해 볼 문제를 짚어준다. 노동을 하는 것은 소비를 위해서, 그리고 소비를 하면 주인이라는 생각을 갖게하기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노동과 소비의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말고 아직은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자본주의가 최적은 아니지만, 자본주의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상황) 노동의 의미와 소비의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게한 일은 아주 좋았다.

 

가면                                             <다상담>은 맨 얼굴을 감당하는 용기도 알려준다. 가면을 썼다 벗었다를 제대로 하는 게 답일수도 있고, 가면을 쓰지 않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절대 추천하지 않는 방법은 가면을 벗지 않은 모습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다.

 

우리는 출발할 때 약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가면을 쓰고 있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성숙하다는 건 시간이 갈수록 가면을 벗고 맨얼굴을 내보인다는 거예요. 하지만 대개 우리는 그 과도기에 있죠. 가면을 쓸 때도 있고 벗을 때도 있어요. 그 과도기에서 우리는 힘든 겁니다. 타이밍이 안 맞는 거예요.

(중략)

강자 앞에서 가면을 벗는 것도, 약자가 내 앞에서 가면을 벗는 것도 만만한 것이 아니에요.

 

늙음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기는 육체의 변화, 이 변화 때문에 늙음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생각해보게 된다. 내가 잘 늙어가고 있는가.

 

우리의 정신은 항상 과거적이에요.

(중략) 

젊었을 때의 내 몸에 대한 기억과 정신 하나만 가지고 지금의 내 몸을 두고선 주름 생겼다고 걱정하고 불평하는 거예요.

(중략)

생각은 몸에 맞게 업데이트 해야 돼요. 여러분의 토대는 정신이 아니라 몸이에요. 내 몸 상태라고요. 내 다리가 잘렸다면 그게 내 모습이에요.

 

꿈                                             꿈꾸지 않는 것이 오히려 삶을 살아가는데는 옳다는 이야기. 꿈은 현재를 희생해서 미래의 무엇을 만드는 일이기 때문이다. 내 현재가 저당잡혀 있는 것이 꿈이지만 이걸 이루지 못하면 계속해서 미련으로 남는다. 그래서 저자는 꿈이 있는 것이 저주다, 하지만 꿈을 꾸고 이루기 위해 노력해라, 꿈을 꾼다면 아무 노력도 결과도 없는 백일몽을 꾸지 말고 이루기 위한 노력이 있는 꿈을 꾸라고 말한다.

 

그리고 꿈은 이루어봐야 안다고 그렇기 때문에 꼭 이루어 보고 그만두라고 이야기를 해주는데, 주제가 꿈이어서 그런지 이 부분은 전적으로 공감되기도 하면서 혼란스럽기도 하다. 해봤는데 아니었던 경험이 여러번 있기 때문에 이룬 다음에 그만둘지 계속할지를 결정하라는 것도 백 번 이해가 되지만, 하고 또 하고 계속했는데 안되는 경우도 세상에는 분명 있기 때문에 그 가능성에 대해서는 답을 얻기는 힘들겠다.

 

종교와 죽음                                죽음에 대한 불안과 종교는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 불안을 이용한 것이 보험이라는 이야기도 중간에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를 희생해서 보험을 들지말고 그 돈으로 사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고 현재를 즐길 수 있는 일들에 투자하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죽음에 대한 불안과 종교가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져 있다는 것도, 사람의 심리에 내재된 불안요소들 때문에 보험이라는 게 있다는 이야기도 모두 맞다. 그런데 뜬금없이 엄청 궁금해졌다. 강신주 철학자는 보험이 하나도 없을까?  

 

죽음에 대한 핵심은 죽음을 시점에 비유해서 설명한 내용이었다. 1인칭 죽음은 '나'의 죽음, 2인칭 죽음은 '너'의 죽음, '그들'의 죽음이 3인칭이다. 우리가 슬픈 이유는 '너'의 죽음 때문이라고.

 

 

 

 

<강신주의 다상담 3>의 결론은 삶은 사랑, 사랑이 바로 삶이다. 그럴듯 하게 표현해서 '삶은 사랑, 사랑은 삶'이지 읽다보면 뜬금없이 대부분의 결론이 "남자친구를 만나 보세요", "여자친구 사귀어 보세요"로 나는 경우도 있었다. 그만큼 삶에 있어서 사랑의 비중이 크다는 걸 의미하겠지만 가끔은 이런 방식의 맺음보다는 조금 더 그 문제 자체에 집중할 필요도 있을걸이라는 의문이 생긴다.

 

옳은 이야기도 아닌 이야기도 있었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그 결론은 결국 사람마다 자신만의 철학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강신주의 말처럼 종교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은 위험하다. (모르겠지만, 종교도 이성적으로 접근하는 사람이 상당수된다) 그 말처럼 그의 철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위험하겠지.

 

<다상담>은 상대방이 생각할 시간을 주기보다 강신주씨의 직설화법으로 이야기들을 풀어내기 때문에 오히려 일부 참가자에게는 역효과가 있을 수도 있겠다. 점점 사람들이 자신을 의지하므로 <다상담>을 그만둘 수 밖에 없다는 그의 말도 맞기는 하다. 그는 그 강연장 안에서 절대자로 우뚝 서 있는 느낌을 강하게 줬기 때문이다. 강신주의 벙커1 강연이 3월부터 다시 시작된다고 하는데, 교주화 되는 분위기의 <다상담>을 떠났던 만큼 조금 더 성숙한 모습으로 대중 앞에 나타났으면 하는 바람도 있다. 그에게 기대하는 이유는 그가 책 말미에 철저한 자기비판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칭찬 뿐 아니라 비판도 받아들일 준비가 있었다는 것 그런 점들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글은 다른 사람들이 읽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쓰인다는 그의 말처럼 더 많이 읽고, 써야겠다. 철학자가 역사가, 문학가가 할 일이 많은 나라가 되었으면 하면서 마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