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 Must인 시대는 갔다. 주변을 보면 결혼을 하거나, 안하거나 '선택'의 문제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제법 있다. 사회적인 분위기도 한 몫하겠지만 요즘은 가족보다는 개인을 우선시하다 보니 결혼보다는 개인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런 모습은 남자인 친구들 보다는 '여자'인 친구들에게서 더 많이 볼 수 있는데 아무래도 결혼으로 생기는 책임의 몫이 여자들에게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의미에서 책 은 '결혼'의 시작부터 가족이 되는 것, 그리고 가정을 잘 꾸려나가는 방법들에 대해서 실제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이 글은 위드블로그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지원받아 작성된 글 입니다. 은 연애와 결혼, 사랑에 대해 공부하라고 한다. 연애 초기의 감정에 이끌려 상..
군대 [명사] 일정한 규율과 질서를 가지고 조직된 군인의 집단. 심리학 [명사] 생물체의 의식 현상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 예전에는 형이상학 안에 포함하여 생각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실험 과학의 경향을 띠고 있다. 발달 심리학, 변질 심리학 따위의 여러 갈래로 나누며, 군사, 산업, 교육 따위의 실생활에 널리 응용한다. 군대가 이슈가 되는 나라, 대한민국. 지구상에 하나 남은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보니, 병역문제가 타국가에 비해 예민한 것도 사실이다. 징병제가 있는 다른 국가들의 상황은 어떨지 모르지만 어떻게 해서라도 '군대'라는 곳을 피해보고 싶은 노력도 여러가지로 존재한다. 징병제가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 말고도 많더라. 위키피디아(링크참고)를 참고해 보니 지역별 징병제 국가 목록에 1번 2번이 대한민국과..
"스스로도 아직 알지 못하는 자신의 숨은 능력을 찾아내고 싶다면 지금 당장 블로그를 시작하라!"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블로그=만사형통'은 아니다. 하지만 블로그에 길이 있다는 말이다. 의 저자는 필자의 오랜 블로그 이웃, 티몰스님이다. 필자의 블로그가 간신히 연명해가고 있는 반면 그는 엄청난 열정과 패기로 어느새 2년 연속으로 파워블로거로 선정되었다. 가끔 글 쓰다가 집중이 되지 않을 때면 열정과 기운을 받고자 찾아가기도 하는 그의 블로그는 랩하는 프로그래머 (http://underclub.tistory.com/). PART3 가능성 있는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에서는 "멘토블로그"를 찾을 것을 권하고 있는데 '랩하는 프로그래머'가 필자에게는 바로 그러했다. 책 제목을 척 보면, 딱 하고 알 수 있을 것..
작가 파울로 코엘료의 이 5월 7일, 발행 예정이다. 나의 10대의 마지막을 반짝이게 해 준 한 권의 책이 였다면 20대 한 부분을 물들인 책은 으로 기억할 수 있을 것 같다. 작가로서 그의 이름을 만들어 준 책이 라면 그의 삶의 지저귐을 담은 책은 이다. 책은 코엘료의 140자, 그 순간을 담았다. 그의 트위터의 글들을 인생이라는 재료로 엮어 만들어낸 책이다. 차례는 하나에서 일곱까지 분류해 각각의 재료를 대표하는 지저귐으로 이름 지어졌다. 하나, 사랑은 변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사람이 변하는 것입니다. 둘, 나의 금기어들. '언젠가', '아마도', 그리고 '만약에' 셋, 삶에도 양념이 필요합니다. '착한 남자'와 '착한 여자'는 심심해요. 넷,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없는 지혜는 쓸모없는 것입니다. 다..
건축가의 로망, 최종 꿈은 '내가 만든 집에서 사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건축가의 자기 집 짓기는 건축하는 사람의 로망인 동시에 내가 살아 갈 곳을 스스로 짓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대변해 주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기 내가 지은 집 못지 않은 개성만점 스타일의 인테리어들을 모아 놓은 책이 있으니 당신이 어디서 무슨 일을 하는 아무개이든 꼼꼼하게 들여다 보도록 하자. 은 맥스웰 길링험 라이언의 '아파트 테라피' 웹사이트에 소개된 실제 사례를 선별한 것이다. 은 총 40개의 집을 소개하고 있으며, 각 공간마다 4개의 부분으로 깨알같이 구성했다. 구성 방식은 다음과 같으며, 내용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 책의 도입부 '이 책을 보는 법'에 소개 되어 있다. 1) 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
Lieben und Arbeiten. 사랑과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것. 정신분석의 궁극적 목표다. 사랑과 일, 프로이트의 결론은 이러했다. 프로이트가 생각한 인생, 삶이란 '사랑과 일'이었다. 프로이트 처럼 생각한다면, 우리가 얻은 삶의 결론으로 "사랑과 일"을 괜찮게 하고 있는지를 생각해 보면 되지 않을까. 이쯤에서 우리는 힐링이 넘쳐나는 이 시대에 '괜찮아'라는 위로에 기대고만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여느 텍스트를 읽으며 잠시 '그래, 난 괜찮아' 정도로 생각하며 나의 아픔이나 상처에 대해서는 무심하게 지나가고 있지는 않나 스스로 점검해 봐야 하지 않나 해서 하는 말이다. 는 책 제목에서 부터 물음표를 던진다. 제목은 이러하지만 내가 정말 너를 사랑하는지에 대한 답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