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다. 여름이면 이 즈음해서 기다려지는 누군가가 있다. 11년 전 찾아온 '이웃집 토토로'(2001,미야자키 하야오), 10년 전에 찾아 온 센과 치히로(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2, 미야자키 하야오)를 비롯해 '고양이의 보은'(2003, 모리타 히로유키)의 귀족 고양이들까지 유독 여름에는 친근한 '그들'이 온다.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2012, 오키우라 히로유키)이 왔다. '요괴들'이라는 명예에 걸맞게 당신의 마음을 약간은 서늘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그들이다. 정이 들면 귀여워 보이는 녀석들이지만, 정을 빼고 보면 흉악스러워 보이기까지 하는 그들의 외모에 있어서는 늦은 밤 0시(자정)에 갑자기 맞닥뜨리게 되면 그 누구도 입가에 미소를 띄며 "안녕?"하고 말을 붙이기는 어려울 것이..
'내 아내의 모든 것'영화 장르는 멜로/애정/로맨스, 코미디다. 영화 글을 쓰려고 검색해 본 결과다. 영화가 별로였다면 "이러다가 망했구만..."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을 것이다. 그래도 한국영화산업 발전에 나의 소중한 시간과 약간의 돈이 조금이나마 기여를 할지도 모를 것이라는 씁쓸한 생각으로 리뷰를 시작 하겠지. 그러나 '내 아내의 모든 것'은 전혀 그럴 일이 없다. 아는 지인에게 감상평을 물으니, "지금까지 본 한국 영화 중 제일 재밌었어요" 하더라.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은 아르헨티나 영화를 원작으로 한다. 영어 제목으로는 'A Boyfriend for My Wife'라고. 아내와 이혼하고 싶은 남자가 아내에게 다른 남자를 붙여준다는 서구론적인 담론이 민규동 감독을 처음부터 사로잡은 것은 아니라..
필자가 초등학교 문턱도 밟아보지 못했던 21년 전 이야기다. 꼬꼬마보다 더 작았으니까. 기억에 전혀 없는 1991년의 일부를 영화 '코리아'를 통해 보았다. 그냥 '탁구영화'는 아니길 바라는 마음으로 봐야 하는 영화, '코리아'다. "그렇게 죽을 거같이 치더니 은메달이가?" 베이징아시안게임에서 현정화 선수가 은메달, 이분희 선수가 동메달을 따고 시상대에 올라 그녀가 던진 말이다. 무뚝뚝하게 던진 말이지만 비아냥거림이나 무시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는 한 마디다. 죽을 것 같이 치고 은메달 밖에 못 받아서, 1991년 2월 남북은 판문점에 모여 탁구와 축구 두 종목에서 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한다. 선수단의 명칭은 코리아(KOREA), 단기는 하늘색의 한반도 지도, 단가는 1920년대 아리랑이다. 1991년 ..
그녀는 가짜다. 당신이 사랑하는 그 혹은 그녀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 가능하기나 할 지 모르겠다. 이 세상에서 나를 죽여야 행복해 질 수 있었던 인생, 영화 '화차'다. 필자는 발톱만한 심장의 소유자로 미스테리, 호러, 스릴러 등의 장르는 제대로 감상할 줄 모르는 엄청난 능력을 가졌다. '화차' 역시 마찬가지다. 용기를 내서 보게 된 이유는 텔레비전 영화소개 프로그램의 홍보 덕택이라고 해 두겠다. 그래서 '화차'를 언제 보았는고 하니 개봉 후 이틀 뒤인 3월 10일에 보았다. 그런데 왜 이제서야 글을 쓰냐하니 "발톱만한 심장이 무서워 했어요. 절대 제가 무서운 건 아닌데"라고 말한다면, 스스로가 더 초라해 질테니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소재의 재발견, 소설 '화차' 그리고 영화 '화차' 화차를..
리뷰로 복귀하고 싶은 마음에 키보드에 두손을 얌전히 올려놓아 본다. 제법 긴 시간 블로그를 떠나 이리저리 분주했었다. 그리고 2012년 2월, 블로그로 다시 타오르는 열정을 기대하며 무언가를 적어야만 하는 이 시점에서 '부러진 화살' 이라니, 이를 어쩐다? "이게 재판입니까? 개판이지." 막힌 기를 뻥 뚫어주는 통쾌한 한마디다. 영화 '부러진 화살'은 한 개인이 거대한 권력 앞에 맞설 수 있는 가장 큰 몸짓을 보여주고 있다. 2007년 재임용 탈락 사건 항소심에서 패소한 김명호 전 성균관대 조교수가 담당 재판장인 서울고등법원 박홍우 부장판사에게 '석궁테러'를 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만들어졌다. 1995년 대입 본고사 수학문제에서 오류를 발견한 김경호교수(안성기 분)는 이에 대한 대학의 부당한 처우에 맞선다..
새해도 얼마 남지 않았고, 겨울이다. 겨울은 추우니까 따뜻한 방바닥에 눌러 앉아 열대몬순기후를 자랑하는 인도영화 한 편 어떤지 싶다. 인도 영화 산업을 통칭하는 말로 쓰이는 '발리우드(Bollywood)'는 인도 영화산업을 일컫는 말로 지금은 뭄바이(Mumbai)로 불리지만 이전에는 봄베이(Bombay)로 불렸던 도시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데서 생긴 이름이라고 네이버 사전은 말한다. 기나긴 러닝타임, 슬픔도 반드시 기쁨이 되어야만 하는 가끔은 어처구니없는 설정, 영화에 푸욱 빠져 있을 때 쯤 등장하는 살짝 당혹스러운 뮤지컬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마냥 훈훈한 발리우드 영화는 기나긴 겨울밤 우리의 외로운 심신을 지켜줄지도 모른다. 그래서 준비했다. 떠나자, 발리우드 ! 슬럼독 밀리어네어 (2008), 인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