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죽도록 미워해 본 적이 있는가? 무척이나 미웠던 누군가와 친구가 된 경험이 있는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목숨을 바쳐 소중하게 지키고 싶은 무언가가 있는가? 웰컴투 동막골, 이 곳에 해답이 있다. 영화를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든 것은 처음이었다. 영화를 보는 내내 큰 화면 (영화관) 으로 못 봤다는 사실을 후회했다. "내 좀 빨라. 나 참 이상해. 숨도 안 멕히고. 이래 이래 팔을 휘 - 저으믄, 다리도 빨라지미. 다리가 빨라지믄 팔은 더 빨라지미. 땅이 막 뒤로 지나가미. 난 참 빨라." 웰컴투 동막골의 이상하지만, 밉지 않은 여자 여일(강혜정 분)의 대사는 제법 인기가 있었다. 영화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주변 사람 중 누군가 따라하면 맘껏 즐거워 할 수 없었다. 천진난만하고 귀여운 모습을 너무나 ..
동네에서 산책을 하거나 커피마시기를 즐겨하는 그냥 평범한 남자, 어느 만화가의 이야기다. 푸른알약은 그냥 평범한 어느 만화가가 자기 이야기를 그리고 쓴 그림책이다. 책 표지는 너무 강렬하다. 제목은 푸른알약인데, 표지는 온통 붉다. 온통 새빨간 책표지를 강조하고 싶은 마음에 의도적으로 빨간 부분에 중점을 둬서 찍었다. 회푸른 바다위에 떠다니며 출렁이는 물결에 휘청이는 쇼파, 그 위에 앉아 파도에 떠밀려 약간은 위태로운 두 연인의 옅은 미소를 그린 일러스트다. 책을 알게되고, 읽고 싶어서 서점에 달려가 달랑 한권 남은 푸른알약을 사들고는 약간의 충격에 휩싸였다. 그 충격의 8할이 책 표지였다. 푸른알약이라는 단어와 대비되는 극명한 색감으로 오는 충격. 책의 처음은 그가 사는 도시로 시작한다. 아무리 오래 ..
세상은 천재에 열광한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그는 천재다. 세상을 여전히 움직이고 있는 그의 음악을 아마데우스에서는 담아내고 있다. 아마데우스, 오래된 영화이지만 결코 오래되지 않은 영화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이름이 오래 된 이름이지만 21세기에 사는 지금 우리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주는 것 처럼 말이다. 감독 밀로스 포먼은 영국 극작가 피터 셰퍼가 런던과 브로드웨이에서 성공시킨 뮤지컬을 영화화 했다. 밀로스 포먼은 체코 출신의 감독으로 유럽 특유의 서늘한 감성과 함께 모차르트가 살던 당시의 화려한 시대상을 아마데우스 안에 담아냈다. 8개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아마데우스는 모차르트의 음악을 가득 담아냈기 때문에 더욱 빛이난다. [모차르트 교향곡 제 25번 G단조, 작품 183], [제 ..
영화를 봐야할지 말아야할지를 10번정도 고민한 끝에 마음을 비우고 보게 된 영화 '투혼'이다. 김상진감독의 10번째 작품 투혼. 삐딱한 누군가를 통해 세상을 웃게했던(주유소 습격사건, 신라의 달밤) 그가 사람들에게 감동 가득한 영화를 보여주고 싶었다는 기백으로 만든 '투혼'을 마음을 터놓고 가볍게 풀어놓겠다. 당연한 이야기: 당연한 전개와 당연한 결말 '글을 읽으면서 함께 봐주세요'라는 의미로 붙여놓은 위 이미지를 봐도 알 수 있을 것이다. 투혼은 뻔하다. 야구선수 윤도훈(김주혁 분)과 그의 부인 오유란(김선아 분)은 부부다. 굳이 영화의 줄거리를 말한다고 해서 스포일러다 아니다 할 것도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매일같이 보는 드라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그런 구성이기 때문이다. 철 없고, 이기적인 남편 ..
당신은 동물을 사랑합니까? 그리고 환경을 사랑합니까? '예'라고 대답한 당신이라면, 당장 돌고래쇼 보는 일 부터 그만두자. 이 사실을 먼저 강조하는 이유는 혹시나 검색창에 돌고래쇼를 보려고 '돌고래쇼'라고 적는 누군가가 있을 것 같아서다. 더 코브: 슬픈 돌고래의 진실 영화가 나왔을 당시 졸업학기였다. 2년전, 독립영화 상영관에서 정기적으로 오는 소식 메일을 받아보곤 했다. '더 코브'에 대한 소식을 받아보고 영화를 보러 가고 싶었지만, 과제에 손발이 묶여서 갈 수 없어서 큰 아쉬움이 있었다. 그리고 다시 시간은 화살처럼 흘러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2011년 개천절에 영화를 보게 되었다. 영화를 보기 전과 보고난 후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인식의 변화다. 영화를 보기 전, 돌고래..
어제 하루 일과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기 전 잠실교보문고에 갔다. 예상했던대로 어느때와 다름없이 한국소설 베스트셀러 쪽에는 '도가니'가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책을 들었다 놓기를 여러번 반복했다. 부분부분 읽어보기도 하고, 여기저기 훑어보기도 하고, 작가의 말도 읽어보기도 하면서 영화와 어떤 부분이 다른지를 살짝 들여다 보았다. 책을 다시 들었다 놓기를 수차례. 결국 문화를 통해 영화를 해석해준다는 책 한권을 사들고 서점을 나올 수 밖에 없었다. 역겨운 현실을 한글자 한글자 읽고 싶지가 않았다. 영화를 보고 소설을 읽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시간들여 책을 사러갔지만 결국 살 수 없었다. 영화를 보기위해 지난주 토요일 영화관을 찾았다. 보는 내내 분노로 손이 덜덜 떨렸다. 그 날밤, 집으로 돌아와 무언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